세미나 안내

2017년 5월 17일 생물정보학 세미나 안내

작성자
admbioinfo
작성일
2018-02-07
조회
22

서울대학교 생물정보연구소와 생물정보학 협동과정 공동 주최로 특별 세미나를 아래와 같이 열고자 하오니많은 참여 바랍니다.

 

일시: 2017년 5월 17일 수요일 오전 11

연사박종화(UNIST)

장소서울대학교 25동 411

 

Title : 게놈과 생명의 본질 (Genome and the nature of life)

 

Abstract : Genome is the reflection of the information universe. The framework to understand life in the universe is how life forms propagate with information processing. I discuss the nature of life as information processor and why genome is centrally important in the universe.

 

Education & Professional experience :


연도

학교/기관

전공/직위

학위/비고

1986-1987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유학/군대를 위해 자퇴

1990-1994

영국 애버딘(Aberdeen) 대학교

생화학과

학사

1994-1997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MRC 센터

생정보학(bioinformatics)

박사

1998-1999

미국 하바드의대 유전학과(조지 처치랩)

생정보학/게놈학

박사후 연구원

1999-2001

유럽생정보학 연구소(EBI)

생정보학

박사후 연구원

2001-2003

영국 케임브리지 MRC 센터

생정보학/게놈학

연구실장 (종신)

2003-2005

KAIST

생정보학

교수

2005-20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OBIC

생정보학

센터장

2009-2014

()테라젠이텍스,

게놈사업부

사장/연구소장

2009-현 재

()게놈연구재단

생정보학

연구소장

2012-2014

서울대 융합대학원 나노 사이언스과

생정보학

겸임교수

2014-현 재

울산과기원교수

생정보학게놈학

정교수

 

주요연구/산업화 실적 또는 대표논문 :

1. 한국인 미만성 위암게놈 분석 (2014년 Genome Biology) 교신저자

2. 게놈해독/분석 서비스 개발 (상용화 서비스 제공중)

3. 최초 한국인 게놈 분석 (2009년 Genome Research) 교신저자

4. 최초 호랑이 표준게놈지도 작성 (2013년 Nature Communications) 교신저자

5. 최초 고래 표준게놈지도 작성 (2014년 Nature Genetics) 교신저자

6. 대중화된 게놈건강정보서비스 개발 (헬로진:테라젠상용화 서비스 제공중)

7. 산전진단 상품개발 (유전자정보활용상용화 서비스 제공중)

Genome-wide data from two early Neolithic East Asian individuals dating to 7700 years ago

Veronika Siska1,*, Eppie Ruth Jones1,2, Sungwon Jeon3, Youngjune Bhak3, Hak-Min Kim3, YunSung Cho3, Hyunho Kim4, Kyusang Lee5, Elizaveta Veselovskaya6, Tatiana Balueva6, Marcos Gallego-Llorente1, Michael Hofreiter7, Daniel G. Bradley2, Anders Eriksson1, Ron Pinhasi8,*,, Jong Bhak3,4,*,, and Andrea Manica1,*,

Science Advances, 01 Feb 2017: Vol. 3, no. 2, e1601877 DOI: 10.1126/sciadv.1601877

Genomes of coral dinoflagellate symbionts highlight evolutionary adaptations conducive to a symbiotic lifestyle

M. Aranda1, Y. Li1, Y. J. Liew1, S. Baumgarten1, O. Simakov2, M. C. Wilson3, J. Piel3, H. Ashoor4,

S. Bougouffa4, V. B. Bajic4, T. Ryu5, T. Ravasi5, T. Bayer1,6, G. Micklem7, H. Kim8, J. Bhak8,

T. C. LaJeunesse9 & C. R. Voolstra1

Scientific Reports | 6:39734 | DOI: 10.1038/srep39734

received: 16 August 2016, accepted: 28 November 2016, Published: 22 December 2016

 

서울대학교 생물정보연구소

생물정보학 협동과정 공동주최